본문 바로가기
커피품종(Coffee Variety)/예멘 재래품종(Yemen Landrace)

커피의 또 다른 기원 예멘의 품종. 예메니아(Yemenia).

by 빈로그(BeanLog) 2025. 1. 12.
반응형

■ [커피 품종 54] ■

예메니아(Yemenia).

예멘 고유 품종의 시작(New Yemen Landrace).

Yemen ⓒfreshcup

■ 시작에 앞서 ■

세계 3대 커피라는, 일본식 마케팅으로 유명해진 커피가 있습니다. 저는 이 3가지의 커피를 소개해 드리면서 이 나라의 커피를 간략히 언급했었습니다. 바로 예멘(Yemen)입니다.

커피가 전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는 음료가 되는 데에 시발점이 되는 장소가 예멘이라 생각합니다. 기나긴 내전과 막대한 생산량으로 커피 산업을 지배하는 중남미에 밀려 예멘 커피는 과거의 영광만을 가진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부자는 망해도 3대는 간다고 했습니다. 커피의 여왕이 다시 커피 산업에서 영향력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 예멘 커피 품종 ■

예멘 커피 품종은 예멘에서 발견되어 재배되고 있는 커피 품종입니다. 예멘 커피는 오랜 시간 주목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다시 재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커피 마니아가 아니라면 예멘 커피 품종은 매우 생소합니다.

예멘을 대표하는 커피 품종 1) 은 우다이니(Udaini), 자디(Ja`adi), 투파히(Tufahi), 부나(Buna), 그리고 다와이리(Dawairi) 품종이 있습니다. 이 품종들은 서로 다른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1) 3대 커피라고 불리는 모카 마타리(mocha matrai)를 언급하는게 맞으나 오늘은 그 커피가 아닌 스페셜티 시장에서 예멘 커피가 다시 포커스를 얻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자하여 이 커피들을 소개해 드립니다.

Yemen ⓒsipnbeans

■ 에티오피아, 그리고 예멘 ■

예멘의 커피는 최근 굉장히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굉장히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멘 커피를 소개하는 사이트에서는 이런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에티오피아 커피는 커피의 진화적 기원지. 그러나 예멘을 통해 커피가 전 세계로 확산되었기 때문에 예멘은 제2의 커피 확산지라고 불러야 한다'.

 

그리고 최근 커피 샘플 조사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결과나 나타납니다. 실제로 현재 재배되는 많은 커피 품종들 중 예멘 품종에 포함되는 품종이 많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722-021-01139-y

■ 예멘 품종의 언급 ■

쿠마 커피(Quma Coffee)에서는 예멘의 커피를 유전학적으로 매핑(Mapping)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예멘 고유의 품종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하게 됩니다. 이들은 이에 대해 예메니아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2020년부터 예멘의 148개의 농장에서 재배되는 커피를 대상으로 특성 및 품종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예멘에서는 수많은 품종의 커피 이름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으로 재배되는 커피들에 대해서 연구를 우선적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연구 결과 148개의 농장에서 93%에 해당하는 137개의 커피나무에 대해 고유 명칭이 부여 1) 되었습니다.

예멘에서 재배되는 커피 품종은 크게 3가지의 품종 그룹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뉴 예멘(New-Yemen)이라는 품종, SL-34 품종, 그리고 티피카/버번(Typica/Bourbon) 품종의 특성입니다. 이 연구 결과 예멘에서 재배되는 커피들에 대해서 고유 명칭은 인정되었으나 예멘의 농부들이 부르는 명칭이 품종으로는 인정받지 못하였습니다.

이같은 연구 결과에도 예멘의 농부들은 우다니와 투파히를 마치 특이한 커피 품종인 것처럼 표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예멘의 커피 산업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해 굉장히 우려하고 있습니다. 겨우 커피 산업에서 다시 재조명 받고 있는데,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커피 시장이 다시 침체가 될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1) 우다이니 34%, 다와이리 16%, 투파히 14%, 부나5%, 자디5%

 
 
https://www.mdpi.com/2073-4395/12/8/1970

■ 지역별 커피의 특성 ■

예멘은 커피 재배에 있어 그다지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높은 고도와 낮은 습도, 그리고 적은 강우량이라는 독특한 기후는 예멘 커피를 독특하게 만들어 주기도 합니다. 예멘 커피는 대표적으로 좋은 산미와 무거운 바디감, 그리고 스파이시하며 흙향을 가진 커피로 유명합니다.

* 투파히

하라즈 산맥(Haraz Mountain)에서 유래한 투파히는 나무가 작습니다. 커피 체리는 작고 둥글며 밀도가 높습니다. 이로 인해 밝은 톤의 산미와 적절한 바디감, 과일의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 디와이리

예멘 중부의 고지대에서 재배됩니다. 이 지역은 매우 건조하고 거친 환경으로 유명한데, 디와이리는 이런 거친 환경에서도 잘 자라 이 지역의 농부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나무는 매우 탄력 있고 튼튼합니다. 다만 불규칙한 모양의 커피가 재배됩니다. 험준한 환경에서 자라는 커피답게 강한 바디감과 함께 향신료의 향이 특성인 커피입니다.

*자디

바니 마타르(Bani Matar)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는 밸런스 있는 커피입니다. 적절한 산미와 바디감, 그리고 은은한 과일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Yemen ⓒfreshcup

■ 품종에 대한 정의 ■

예멘에서 실시한 이번 연구결과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는 것과 동시에 품종 연구에 대한 기존의 의구심을 더 증폭시켰다는 반응도 있습니다. 예로부터 지속적으로 연구해온 분야가 아니다 보니 적은 데이터로 수많은 커피의 품종을 과연 제대로 분석하고 분류하고 있는지에 대해서입니다.

특히 예멘의 농부들의 경우 자신들이 재배하는 커피의 특성이 품종의 차이가 '품종'의 차이가 아닌 '떼루아'의 차이였다는 것에 대해 납득하지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https://www.mdpi.com/2073-4395/12/8/1970

 


■ 마침 ■

스페셜티 커피(Specialty coffee)시장의 발달은 소비자에게는 맛과 향이 풍부한 커피를 접할 수 있게 하였으며 농부들에겐 특별히 재배한 자신들의 커피에 대해 합당한 가격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주었습니다. 스페셜티 커피 시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현재 가장 크게 주목받는 건 커피 품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최근 다시 주목받는 예멘 커피가 일찌감치 자신들의 커피를 연구하기 시작했다는 건 이러한 활동이 자신들이 재배하는 커피가 더 가치를 인정받는 방법이기 때문은 아닐까 생각됩니다.

다음에는 다른 품종의 이야기를 다뤄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