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쓸커잡52 스페셜티 커피 추출에 WDT 툴이 필수가 되고 있는 이유. ■ 알쓸커잡(알면 쓸모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53편. 스페셜티 커피가 WDT 툴에 집착하는 이유.◆ 완벽한 한잔 ◆완벽한 에스프레소를 추출은 오랜 시간 동안 많은 바리스타들과 홈 브루어들(home brewers)의 꿈이자 집착이었습니다. 현재 에스프레소 추출은 도징량, 추출량, 시간, 분쇄도 크기와 같은 변수를 수정하여 추출하는 것이 기본이 되었으며 추출 압력 변경 및 추출 온도와 같은 요소까지 변수를 수정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특히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World Barista Championship)은 에스프레소 추출에 대한 업계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최근 몇 년간 가장 주목할 만한 동향 중 하나는 도구, 특히 WDT(Weiss Distribution.. 2025. 1. 26. 마이크로랏(Micro Lot) 커피란 무엇일까? ■ 알쓸커잡(알면 쓸모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52편. 마이크로랏 커피는 무엇일까?◆ 마이크로랏 커피 ◆마이크로랏(Micro-Lot) 커피라는 용어는 커피 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많은 용어들처럼 일관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용어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단어입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랏 커피는 스페셜티 커피처럼 재배된 지역 추적이 가능하고 스페셜티 커피들처럼 기후와 토양, 고도 및 가공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재배됩니다.일반적으로 마이크로랏 커피는 단일 농장의 작은 농장에서 생산되는 커피를 말합니다. 이 커피들은 재배되는 특정 지역의 독특한 풍미 프로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정 농장에서 개별적으로 재배하고 처리하는 마이크로랏 커피들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가격을 책정 받는데 이는 우수한 품질의 .. 2025. 1. 26. 공기가 만드는 커피 맛의 변화: 에어레이션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51편. 공기가 맛을 향상시키는 에어레이션.◆ 맛과 향의 극대화를 위한 새로운 탐구 ◆커피 전문가와 커피 마니아들은 커피의 맛과 향을 극대화하여 새로움을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꾸준히 찾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커피 프로세스를 시도하는 것부터 커피를 마시는 용기를 바꾸는 등 끊임없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아직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 방법 중 하나인 에어레이션(aeration)입니다. 와인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어레이션은 산화 과정을 가속화하여 맛과 향을 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에어레이션 ◆에어레이션라는 용어는 단순히 재료에 공기를 도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몇 가지 예.. 2025. 1. 12. 라떼 아트를 위한 각종 우유 비교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50편. 라테 아트에 적합한 우유는 무엇일까? ◆ 우유 기반 음료(milk-based coffee beverage)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은 플랫 화이트와 라테, 카푸치노 같은 우유 기반 커피 음료(milk-based coffee beverage)를 즐깁니다. 실제로 2020년에는 카페에서 판매된 커피 메뉴 중 약 91%가 우유가 들어간 메뉴였습니다. 이에 따라 식물성 우유도 점점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라테는크리미 한 질감과 자연스러운 단맛과 함께 우유 기반 음료가 널리 소비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라테 아트에 사용되는 우유의 질감, 좋은 미세 거품은 미학적 매력은 물론 소비자들이 느끼는 음료 경험에 좋은 영향들을 더해줍니다.그러나 식물성 우유를.. 2025. 1. 12. 크레마, 단순한 거품일까? 에스프레소의 숨겨진 비밀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49편. 크레마는 우수한 에스프레소의 척도인 걸까?◆ 에스프레소(Espresso) ◆에스프레소 한 잔을 떠올리면 보통 황금빛 갈색 크레마가 떠오를 것입니다. 이탈리아에서 에스프레소를 세계에 선보인 이후로 크레마는 에스프레소를 상징하는 부분이 되었습니다. 크레마는 커피 음료의 캔버스 역할을 하며 복잡하고 세밀한 라테 아트를 할 수 있게 해 줍니다. 크레마가 없었다면 이런 일은 불가능했을 것입니다.그러나 최근 몇 년간 스페셜티 커피는 가벼운 로스팅 프로파일을 선호함에 따라 과거에 비해 에스프레소에서 크레마가 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훌륭한 에스프레소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크레마가 필요할까요?◆ 크레마(Crema) ◆크레마라는 용어는 전설적인 밀라노 .. 2025. 1. 6. 로스팅부터 추출까지, 커피 쓴맛의 원인 분석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48편. 커피에서 쓴 맛이 나는 이유에 대해.◆ 커피(Coffee) ◆커피를 처음 접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커피는 어떤 이미지가 떠올려질까요? 대부분은 씁쓸한 맛이 나는 짙은 갈색의 음료를 떠올리게 될 것입니다. 스페셜티 커피 시장이 성장하면서 커피의 맛 표현은 정말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요즘 표현되는 커피의 맛은 신맛과 단맛, 쓴맛이 균형 잡힌 음료로 표현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커피를 떠올리거나 커피를 맛보게 되면 대부분 쓴맛이 지배적입니다.그렇다면 왜 커피에서는 쓴맛이 나는 것일까요?◆ 화학적 이유 ◆인간의 혀는 여러 부위로 이루어진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영역은 신맛, 짠맛, 단맛, 쓴맛(매운맛의 경우 뇌를 통해 느껴진다고도 합니다).. 2025. 1. 2.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