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커피 선별2

(커피 로스팅-3) 맛의 차이를 만드는 결정적 순간들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27편. 커피 로스팅.- 3◆ 시작에 앞서 ◆커피 로스팅 2편에서는 커피가 로스팅의 과정에서 생기는 물리적, 화학적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커피의 로스팅에 대한 과정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3편에서는 로스팅 머신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볼 예정이었으나 로스팅 머신에 대한 역사에 대한 글을 적을 때 이 내용을 기재해 볼까 합니다.◆ 생두 분석(Green bean analysis) ◆로스팅을 하기 전, 로스팅할 생두의 상태를 평가합니다. 생두는 각기 다른 수분 함량과 품종, 크기, 밀도를 가지고 있기에 생두의 특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커피 생두의 신선도와 밀도 ●똑같은 농장, 똑같은 품종, 똑같은 가공 방식의 생두라도 보관 방법.. 2024. 12. 27.
커피 건조 이후 커피는 어떻게 될까? ■ [커피 프로세스 13] ■건조 이후 커피 가공 공정​ ◆ 시작에 앞서 ◆이번에는 커피 가공 공정에서 발효/건조 이후 커피 가공 공정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프리 클리닝(Pre-cleaning) ◆건조 과정에서 커피는 많은 이물질에 노출이 됩니다. 그렇기에 탈곡(Milling) 전에 반드시 먼지 혹은 이물질을 제거해 줘야 합니다. 클리닝 과정에서 크기와 무게의 차이를 이용한 제거 과정을 하게 됩니다.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탈곡을 진행하게 되면 탈곡 기계에 손상을 주게 됩니다. ◆ 돌 제거(Destoning) ◆돌 역시 탈곡 전에 미리 제거해 줘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탈곡 기계에 손상을 주게 됩니다. 또한 분류되지 않은 돌이 커피에 섞이게 되면 결점으로 간주되어 커피 등급에 나쁜 .. 2024. 1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