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쓸커잡52

뜨겁게 내려 차갑게 즐기는 특별한 커피. 플래시브루 커피.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41편. 플래시브루 커피.◆ 차가운 커피 ◆대부분의 현대인들에게 차가운 커피를 말하면 대부분 콜드브루(Cold brew) 또는 아이스 아메리카노 커피를 떠올릴 겁니다. 1960년대, 일본의 커피 애호가들은 이와는 다른 차가운 커피를 즐기고 있었습니다. 바로 플래시브루라고 불리는 일본 아이스커피입니다.◆ 차가운 커피의 대중화 ◆이 음료는 20세기 말에서 21세기 초가 되어서야 미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서 시도하고 보급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커피는 차가운 커피의 대중화에 큰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그럼 이 음료가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지는지와 콜드브루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플래시브루(Flash Brew) ◆이 음료는 일본식 아이스커피로도.. 2024. 12. 30.
다크 로스팅의 두 얼굴: 로스터의 이상과 소비자의 현실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40편. 다크 로스팅 된 커피. 로스터와 시장의 괴리.◆ 스페셜티 커피 로스팅 ◆스페셜티 커피를 다루는 로스터들은 라이트 로스팅 커피를 제공하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이는 이유가 있습니다. 라이트 로스팅 된 커피의 프로필을 소비자들이 경험할 정도로 커피 산업이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스페셜티 커피에서는 다크 로스팅 된 커피를 찾아보기 힘들어졌습니다.스페셜티 커피를 다크 로스팅 하지 않는 이유는 대부분 커피의 고유한 특성이 다르 로스팅을 통해 많이 잃기 때문입니다. 로스팅 진행이 진행되면 될수록 커피는 잠재적으로 쓴맛이 생성되고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로스팅 과정 ◆커피를 로스팅하는 과정에서 커피에서는 많은 화학반응이 일어납니다. 다양한 화.. 2024. 12. 30.
산토도밍고의 향기. 도미니카 커피 역사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39편. 원산지별 커피 이야기 - 도미니카◆ 도미니카(Dominica) ◆도미니카는 커피 재배 국가로써는 우리에게 조금 낯선 국가입니다. 사실 도미니카는 매우 오래전부터 커피를 재배하던 오랜 역사를 가진 커피 재배 국가입니다. 이번에는 도미니카의 커피 역사를 한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가브리엘 드 클리외(Gabriel de Clieu) ◆도미니카 공화국의 최초 커피 생산은 170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최초의 커피 생산자가 누군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하나는 스페인에서 무역을 시도하기 위해 마르티니크에서 커피를 가져왔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는 프랑스 해군 장교이자 커피 애호가로 알려진 가브리엘 드 클리외가 커피를 가져왔다.. 2024. 12. 30.
블루마운틴, 황제의 커피. 자메이카 커피 역사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38편. 원산지별 커피 이야기 - 자메이카 ◆ 자메이카(Jamaica) ◆자메이카는 매우 유명한 커피를 재배하는 오랜 커피 역사를 가진 나라입니다. 자메이카를 대표하는 블루마운틴(Blue Mountain) 커피는 커피를 오래전부터 접하신 분들에게는 매우 유명한 커피입니다. 이번에는 자메이카의 커피 역사를 한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니콜라스 로웨스 ◆1723년, 아메리카 대륙에서 커피 재배가 시도됩니다. 카리브해의 마르티니크 섬에서 심어진 이 커피는 티피카 품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부터 5년 뒤 이 최초의 커피나무는 자메이카로 옮겨지게 됩니다. 자메이카의 주지사였던 니콜라스 로웨스(Nicholas Lawes) 경은 세인트 앤드류에 위치한 자신의 사유.. 2024. 12. 29.
바리스타라면 꼭 알아야 할. 커피 베이직(Coffee Basic) - 2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37편. 커피 베이직 - 2● 에스프레소 추출포터 필터를 그룹 헤드에서 분리함바스켓에 묻어있는 커피 찌꺼기 및 물기를 제거분쇄된 커피를 포터 필터에 담고(도징) 레벨링(균일한 높이로 맞춤)일정하게 커피를 누른다(탬핑)포터 필터 가장자리에 묻어있는 커피가루를 정리함에스프레소 머신에 열수를 흘린 뒤 포터 필터를 그룹 헤드에 체결하고 추출을 시작추출 흐름을 관찰하면서 올바른 방법으로 커피를 추출에스프레소 메뉴를 만들어 서빙포터 필터를 그룹 헤드에서 분리한 뒤 커피퍽(커피 추출 후 남은 커피 찌꺼기)를 넉박스에 버림바스켓을 다시 깨끗하게 닦음포터 필터를 다시 그룹 헤드에 장착(포터필터의 예열을 위해)** 도징과 레벨링, 그리고 탬핑의 과정을 팩킹 과정이라고 함.. 2024. 12. 29.
바리스타라면 꼭 알아야 할. 커피 베이직(Coffee Basic) - 1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36편. 커피 베이직● 커피(COFFEE)커피란 음료로써 커피나무에서 커피 생두를 수확, 가공을 거쳐 로스팅 후 커피를 추출한 것을 말합니다.● 커피 생산지역 (커피벨트)커피 재배가 가능한 지역으로 북위 25도에서 남위 25도의 범위를 말합니다. 커피 벨트(Coffee belt)라고 불리지만 커피 존(Coffee zone)​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커피나무 (Coffee tree)꼭두서니과의 코페아속에 속하는 쌍 떡잎 식물로 주요 품종으로는 아라비카(Arabica), 카네포라(Canephora) 1) , 리베리카(Liberica)가 있습니다. 1) 리베리카는 주로 로부스타(Robusta)라고 불립니다. ● 아라비카 & 로부스타(Arabica & Rob.. 2024. 1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