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쓸커잡52 맛있는 커피를 위해 꼭 골라야 할. 결점두(Defect bean)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17편. 결점두(defect bean)◆ 시작에 앞서 ◆커피 등급의 기준을 통해 다양한 조건으로 커피 등급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그 조건들 중 하나인 결점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efect ◆defect. 결함을 뜻하는 명사입니다. 결점두(defect bean)란 결함이 있는 커피 원두를 뜻하겠습니다.결점두가 생기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이는 나무에서 열매로 달려있을 당시에 생긴 결점일 수도 있고, 채집과정 혹은 건조 발효과정에서 생긴 결점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탈곡과 보관과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점두의 종류 ◆이번에 소개해드릴 결점두의 종류는 스페셜티 커피 협회(SCA.Specialty Coffee Associ.. 2024. 12. 26. 커피 등급은 어떻게 정해질까? 커피 등급(coffee grade)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15편. 커피 등급◆ 시작에 앞서 ◆커피는 재배 국가별로 정해진 등급 기준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 기준은 매우 다양합니다. 이번에는 커피 등급의 기준, 그리고 커피의 등급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커피 등급은 기준이 있다? 없다? ◆커피의 등급은 모두 같은 기준으로 평가가 될까요? 아닙니다. 커피는 각 재배 국가별로 다른 분류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준은 결점두(defect bean)의 수, 생산 고도, 생두 크기(screen size) 등의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각 나라별로 다른 기준으로 커피를 평가하다 보니 공통된 기준의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SCA(Specialty Coffee Association)에서는 자체적으로 커피의 .. 2024. 12. 26. 커피 그라인더 역사(coffee grinder history)-2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14편. 커피 그라인더-2◆ 시작에 앞서 ◆커피 그라인더 1편에서는 커피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에 대한 역사적인 관점에서 글을 써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그라인더의 실질적인 사용에 대한 관점에서 글을 써 보려고 합니다.◆ 적절한 분쇄를 하려는 이유 ◆커피를 분쇄하는 이유는 커피의 추출을 위한 것입니다. 커피를 잘게 분쇄하여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커피가 가진 고형 성분을 물에 쉽게 용해되게끔 만들기 위해서입니다.분쇄 입자가 가늘면 커피의 성분이 많이 추출(과다 추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입자가 굵을수록 물이 통과하는 시간이 빨라져서 커피 성분이 적게 추출(과소 추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것을 보통 진흙과 모래를 가지고 비유하기도 합니다. 분쇄 입자가 가.. 2024. 12. 26. 커피 그라인더 역사(coffee grinder history) -1 ■ 알쓸커잡 (알면 쓸모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13편. 커피 그라인더-1◆ 시작에 앞서 ◆커피, 정확히는 좋은 에스프레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4가지의 변수가 존재한다고 에스프레소에 대한 소개를 해드릴 때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4M이라고 불리는 이 4가지의 변수 중 하나인 커피 그라인더에 대해 잠깐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최초의 커피 분쇄 방식 ◆커피를 갈아서 먹기로 시작한 최초의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매우 오래전부터 커피 씨앗을 볶은 뒤 커피를 분쇄해서 마셨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럼 최초의 커피 분쇄 방식은 무엇일까요? 저는 최초의 커피 분쇄를 맷돌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커피를 최초로 분쇄한 방법은 사발 그릇에 막자를 이용하여 커피를 빻아서 분쇄하는 방법이었습니다. 몇몇 나라에.. 2024. 12. 26. 커피 속 카페인(caffeine), 독일까 약일까?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12편. 카페인◆ 시작에 앞서 ◆제 블로그를 정주행 하고 계신 분들이 혹시나 계시다면, 카페인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 전, 디카페인 프로세스를 먼저 다뤘다는 사실을 아셨을 겁니다. 이번엔 커피가 가진 가장 유명한 성분인 카페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카페인(Caffeine) ◆커피에서 카페인이라는 물질을 발견하고 분리를 한 최초의 사람은 독일의 화학자인 프리드리프 페르디난트 룽게(Friedlieb Ferdinand Runge)입니다. 그는 1819년 독일의 시인이자 소설가, 과학자인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의 요청에 의해 커피를 연구합니다. 당시 룽게는 나이트셰이드(Nightshad)e라는 동공 확.. 2024. 12. 25. 세계 3대 커피 (3). 예멘 모카 ■ 알쓸커잡 (알면 쓸모 있는 커피 잡학지식) ■제11편. 세계 3대 커피Mocha. 예멘 모카◆ 시작에 앞서 ◆세계 3대 커피. 마지막으로 예멘 모카(Yemen Mocha) 커피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앞서 소개해 드린 자메이카 블루마운틴(Jamaica Blue mountain), 하와이 코나(Hawaii Kona) 커피의 경우 수요와 공급의 법칙으로 인한 희소성과 마케팅의 조합으로 유명해진 커피의 성향을 보이는 반면, 예멘 모카커피는 오랜 커피 역사를 통해 오랜 시간 많은 사랑을 받은 커피입니다.◆ 또 하나의 커피의 유래 ◆커피의 기원으로 가장 유명한 건 에티오피아의 목동인 칼디(Kaldi)의 전설입니다. 칼디의 전설은 가장 유력한 커피의 유래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커피의 .. 2024. 12. 25. 이전 1 ··· 4 5 6 7 8 9 다음 반응형